[스크랩] 이청준 복덕방 문제 2
▣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.
박희완 영감이란 세 영감 중의 하나로 안 초시처럼 이 ㉠복덕방에 와 자기까지는 안 하나 꽤 쏠쏠히 놀러 오는 늙은이다. 아니 놀러 오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와서는 공부도 한다. 재판소에 다니는 조카가 있어 대서업1)(代書業) 운동을 한다고 <속수국어독본(速修國語讀本)>을 노상 끼고 와 그 ㉡<삼국지(三國志)> 읽던 투로,
긴―상 도코―에 유키이마스카. / 어쩌고를 외고 있는 것이다.
그러나 <속수국어독본> 뚜껑이 손때에 절고, 또 어떤 때는 목침 위에 받쳐 베고 낮잠도 자서 머리때까지 새까맣게 절어 조선총독부편찬(朝鮮總督府編纂)이란 잔글자들은 보이지 않게 되도록, 대서업 허가는 의연히 나오지 않는 모양이었다. / 너나 내나 다 산 것들이 업은 가져 뭘 허니. 무슨 세월에…… 흥!
하고 어떤 때, 안 초시는 한나절이나 ㉢화투패를 떼다 안 떨어지면 그 화풀이로 박희완 영감이 들고 중얼거리는 <속수국어독본>을 툭 채어 행길로 팽개치며 그랬다.
넌 또 무슨 재술 바라구 밤낮 화투패나 떨어지길 바라니? / 난 심심풀이지.
그러나 속으로는 박희완 영감보다 더 세상에 대한 야심이 끓었다. 딸이 평양으로 대구로 다니며 지방 순회까지 하여서 제법 돈냥이나 걷힌 것 같으나 무용 연구소를 내느라고 집을 뜯어고친다, 유성기를 사들인다, 교제를 하러 돌아다닌다 하느라고, 더구나 귀찮게만 아는 이 애비를 위해 쓸 돈은 예산에부터 들지 못하는 모양이었다.
얘! 낡은 솜이 돼 그런지, 삯바느질이 돼 그런지 바지 솜이 모두 치어서 어떤 덴 홑옷이야. 암만해두 사쓸 한 벌 사입어야겠다. / 하고 딸의 눈치만 보아 오다 한번은 입을 열었더니,
어련히 인제 사드릴라구요.
하고 딸은 대답은 선선하였으나 샤쓰는 그해 겨울이 다 지나도록 구경도 못 하였다. 샤쓰는커녕 ㉣안경다리를 고치겠다고 돈 일 원만 달래도 일 원짜리를 굳이 바꿔다가 오십 전 한 닢만 주었다. 안경은 돈을 좀 주무르던 시절에 장만한 것이라 테만 오륙 원 먹은 것이어서 오십 전만으로 그런 다리는 어림도 없었다. 오십 전짜리 다리도 있지만 살 바에는 조촐한 것을 택하던 초시의 성미라 더구나 면상에서 짝짝이로 드러나는 것을 사기가 싫었다. 차라리 종이 노끈인 채 쓰기로 하고 오십 전은 담뱃값으로 나가고 말았다.
왜 안경다린 안 고치셨어요? / 딸이 그날 저녁으로 물었다. / 흥…….
초시는 말을 하지 않았다. 딸은 며칠 뒤에 또 오십 전을 주었다. 그러면서 어떻게 들으라고 하는 소리인지,
아버지 ㉤보험료만 해두 한 달에 삼 원 팔십 전씩 나가요.
하였다. 보험료나 타먹게 어서 죽어 달라는 소리로도 들리었다.
그게 내게 상관 있니? / 아버지 위해 들었지 누구 위해 들었게요 그럼?
초시는 정말 날 위해 하는 거문 살아서 한 푼이라두 다우. 죽은 뒤에 내가 알 게 뭐냐 소리가 나오는 것을 억지로 참았다. / 오십 전이문 왜 안경다릴 못 고치세요?
초시는 설명하지 않았다. / 지금 아버지가 좋고 낮은 걸 가리실 처지야요?
그러나 오십 전은 또 마코2) 값으로 다 나갔다. 이러기를 아마 서너 번째다.
자식도 소용 없어. 더구나 딸자식…… 그저 내 수중에 돈이 있어야…….
초시는 돈의 긴요성(緊要性)을 날로 날로 더욱 심각하게 느끼었다. / 돈만 가지면야 좀 좋은 세상인가!
심심해서 운동 삼아 좀 나다녀 보면 거리마다 짓느니 고층 건축들이요 동네마다 느느니 그림 같은 문화 주택들이다. 조금만 정신을 놓아도 물에서 갓 튀어나온 메기처럼 미끈미끈한 자동차가 등덜미에서 소리를 꽥 지른다. 돌아다보면 운전수는 눈을 부릅떴고 그 뒤에는 금시곗줄이 번쩍거리는, 살진 중년 신사가 빙그레 웃고 앉았는 것이었다. / 예순이 낼 모레…… 젠 ―― 장할 것
A
그러면 송장이나 다름없지 뭔가?
초시는 이런 질문을 자신에게 던지는 지가 이미 오래였다.
무슨 수가 없을까? / 또, / 무슨 그루테기가 있어야 비비지!
그러다도, / 그래도 돈냥이나 엎질러 본 녀석이 벌기도 하는 게지.
하고 그야말로 무슨 그루터기만 만나면 꼭 벌기는 할 자신이었다. `- 이태준, <복덕방>
어휘풀이 1)대서업 : 남의 부탁을 받아 관공서에 낼 서류나 그 밖의 것을 써 주고 보수를 받는 작업 2)마코 : 일제 시대의 담배
①서술자는 안 초시의 시선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고 있다.
②안 초시는 가난한 가운데에서도 큰돈을 벌 야심을 갖고 있다.
③박희완 영감은 안 초시에 비해 현실적인 꿈을 지니고 있다.
④안 초시의 딸은 아버지의 투정을 안쓰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.
⑤안 초시는 돈 문제 때문에 딸에게 불만이 있으나 속으로 삼키고 있다.
[Odyssey]1) [답] ④ [해]안 초시의 딸은 아버지의 샤쓰를 제때 사주지 않으며, 또 안경다리 고칠 돈을 쉽게 내놓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앙버지를 ‘안쓰러운’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다소 귀찮은 존재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2. A 에 <보기> 부분을 추가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초시는 늙어 가는 것이 원통하였다. 어떻게 해서나 더 늙기 전에 적게 돈 만원이라도 붙들어 가지고 내 손으로 다시 한 번 이세상과 교섭해 보고 싶었다. 지금 이 꼴로서야 문화 주택이 암만 서기로 내게 무슨 상관이며 자동차, 비행기가 개미 떼나 파리 떼처럼 퍼지기로 나와 무슨 인연이 있는 것이냐, 세상과 자기와는 자기 손에서 돈이 떨어지진, 그 즉시로 인연이 끊어진 것이라 생각되었다.
①‘안 초시’의 입장에서 심리를 직접 서술함으로써 독자의 동정심을 유도하고 있다.
②‘안 초시’의 생각을 상술하여 그의 계획이 상당한 근거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 준다.
③‘안 초시’의 비애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임을 드러내 주고 있다.
④‘안 초시’의 세상에 대한 심사를 강조하여 제시함으로써 현실과 괴리된 그의 삶을 부각시키고 있다.
⑤현재의 안 초시로서는 꿈도 꿀 수 없는 만 원이라는 돈을 제시하여 ‘안 초시’의 야심이 실현 불가능한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.
[Odyssey]2) [답] ① [해]<보기> 부분은 서술자가 안 초시의 입장에서 그의 내면을 서술하고 있는 장면이다. 안 초시의 원통한 심정이 실감 있게 독자에게 전달됨으로써 독자는 그의 무모한 야심을 비판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 그에게 동정과 위로를 보내게 된다.
3. 이 소설의 전체 줄거리를 <보기>와 같이 요약했을 때, 이와 관련하여 이 작품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ㄱ. 서 참의는 구한말에 훈련원에서 군사를 훈련시키는 무관이었으나 지금은 기개를 잃고 복덕방 주인으로 전락하였다.
ㄴ. 안 초시는 수 차례에 걸친 사업 실패로 몰락하여 지금은 서 참의의 복덕방에서 신세를 지고 있지만 언젠가는 다시 일어선다는 꿈을 안고 살아간다.
ㄷ. 박희완 영감은 훈련원 시절 서 참의의 친구로서 재판소에 다니는 조카를 빌미로 대서업의 꿈에 매달리고 있다.
ㄹ. 재기를 꿈꾸던 안 초시에게 박 영감이 부동산 투자에 관한 정보를 알려 준다.
ㅁ. 유명한 현대 무용가인 경화는 평소 아버지 안 초시에게 야박하게 굴지만, 안 초시가 알려 준 정보에 솔깃해 집을 담보로 거액을 대출받아 투자에 나선다. 그러나 박 영감이 안 초시에게 알려 준 부동산 정보가 사기극이었음이 밝혀지고 이에 충격을 받은 안 초시는 자살한다.
ㅂ. 서 참의와 박 영감은 자신의 명예를 위해 사고사로 위장하자는 경화를 꾸짖지만, 경화는 안 초시의 보험금으로 장례식을 성대하게 치른다.
ㅅ. 장례식에 참석한 서 참의와 박 영감은 경화와 조문객들의 허세를 보고 못마땅해하며 마음이 무겁기만 하다.
①ㄱ과 ㄴ으로 보아 세 영감은 젊었을 때와 달리 경제적 고통과 소외 속에 노년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군.
②ㄴ에서 안 초시의 전력을 보니 세 영감 중 그가 가장 물질적 야망이 큰 이유를 알 것 같군.
③ㄹ을 보니 이 글에 나타난 모습과 달리 박 영감 역시 안 초시 못지않게 욕심이 많은 인물이라 할 수 있어.
④ㅁ을 보니 안 초시의 딸 경화 역시 예술가로서의 겉모습 속에는 물질에 대한 욕심이 들어 있었어.
⑤ㅂ과 ㅅ을 보니 서 참의, 박 노인과 자신의 체면을 내세워 장례식을 성대하게 치르는 경화를 대비시킴으로써 현대인의 물질주의와 허세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어.
[Odyssey]3) [답] ③ [해]박 영감이 부동산 정보를 알려준 것은 사실이나 그 역시 사기극의 피해자이므로 이를 근거로 그가 안 초시 못지않게 욕심이 많은 인물이라고 볼 수 없다.
①㉠ : ‘문화 주택’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문화를 향한 욕망을 상징하는 공간이다.
②㉡ : 새로운 시대에 쉽게 편입하지 못하는 구세대의 한계를 압축적으로 나타낸다.
③㉢ : 소외된 노년 세대의 서글픈 삶과 아울러 끈끈한 우정을 상징하는 소재이다.
④㉣ : 안 초시의 고단했던 삶과 현재의 초라한 행색을 드러내 주는 소재이다.
⑤㉤ : 근대적인 문물에 호기심이 많은 안 초시의 진취적 성격을 드러내 준다.
[Odyssey]4) [답] ② [해]박 영감은 책이 다 닳도록 대서업 공부를 하나 허가는 여전히 나오지 않는다. ‘삼국지 읽던 투’로 책을 외는 그의 모습은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세대의 모습 그 자체이다. 이로 보아 그의 꿈은 결국 이루어지지 못하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