◑개권유득( 開卷有得 ). 책을 펴고 글을 읽어 새로운 지식을 얻다
◑개권유익( 開卷有益 ). 책을 펼쳐놓으면 그것만으로도 유익하다. 독서를 권장하는 말.
◑고궁독서( 固窮讀書 ). 가난한 것을 달게 여기며 글읽기를 좋아함.
◑고문전책( 高文典冊 ). 귀중한 문서
◑낙양지귀( 洛陽紙價貴 ). 낙양의 종이값이 오른다는 뜻으로 저서가 좋은 평판을 받아서 매우 잘 팔린다는 것을 비유한 말.
◑남아수독 오거서( 男兒須讀 五車書 ).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수레에 실을 만큼의 책을 읽으라는 말
◑독서백편 의자현( 讀書百遍 義自見 ). 어려운 책이라도 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저절로 그 뜻을 알게 된다는 말.
◑독서삼도( 讀書三到 ). 책을 읽는 데는 눈으로 보고, 입으로 읽고, 마음으로 이해해야 한다.
◑독서삼매( 讀書三昧 ). 아무 생각없이 오직 책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상태. 한 곳에 정신을 집중하는 것, 삼매는 범어 samadhi의 음역
◑ 독서삼여( 讀書三餘)독서하기에 알맞은 세 여가--겨울,밤,비올 때.
◑독서상우( 讀書尙友 ). 독서함으로써 옛날의 현인을 벗삼다
◑독서파만권( 讀書破萬券 ). 책을 많이 읽다.
◑등화가친( 燈火可親 ).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하여 글읽기에 아주 좋다는 뜻. 등화초가친( 燈火稍可親 ).
◑박이부정( 博而不精 ). 여러 방면으로 널리 아나 정통하지 못함. 독서에 있어서 정독(精讀)의 중요성. 숲은 보고 나무는 보지 못함
◑서불가진신( 書不可盡信 ). 책에 기록되어 있다고 다 믿어서는 안 된다
◑서불차인( 書不借人 ). 책을 아껴서 남에게 빌려주지 않다.
◑서자서아자아( 書自書我自我 ). 글은 글대로 나는 나대로이다. 곧 글은 눈으로만 읽고 마음은 딴 곳에 있다는 뜻.
◑손강영설( 孫康映雪 ). 진나라 학자 손강이 가난하여 등유를 사지 못하고 겨울밤에 책을 눈(雪)에 비추어 읽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
◑수불석권( 手不釋卷 ).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. 늘 책을 가까이하여 학문을 열심히 하다.
◑신량등화( 新凉燈火 ). 서늘한 초가을 밤에 등불 밑에서 글읽기가 좋다.
◑십행구하( 十行俱下 ). 열 줄의 글을 한 번에 읽는다. 책 읽는 속도가 빠름을 나타내는 말
◑어언무미( 語言無味 ).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말에도 맛이 없다.
◑영설독서( 詠雪讀書 ). 눈(雪)의 밝은 빛으로 책을 잃는다.
◑오거지서( 吾車之書 ). 다섯 수레에 실을 만큼 많은 책
◑외제학문( 外題學問 ). 책의 제목만 많이 알고 실제로 그 내용은 잘 모름을 일컫는 말
◑월광독서( 月光讀書 ). 달빛으로 책을 읽는다. 고학(苦學)을 말함
◑위편삼절( 韋編三絶 ). 한 책을 되풀이하여 숙독함의 비유. 공자가 만년에 역경(易經)을 좋아하여 즐겨 읽는 바람에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
◑주경야독( 晝耕夜讀 ).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다. 바쁜 중에서도 책을 읽어 어렵게 공부하다.
◑착벽투광 (鑿壁偸光) 한 가난한 사람이 저녁에는 어두운데 초를
살돈이 없어서 부자인 옆집의 빛을 훔치기위해 벽에 구멍을 뚫었다
◑한우충동( 汗牛充棟 ). 수레에 실으면 소가 땀을 뻘뻘 흘리고 방에 쌓으면 대들보까지 닿을 만큼 책이 많다.
◑행상대경( 行常帶經 ). 나다닐 대도 늘 경서(經書)를 지니고 다닌다는 뜻으로, 항시 학문에 정진함을 이름.
◑형설지공( 螢雪之功 ).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한 공이라는 뜻으로, 갖은 고생을 하며 공부해서 얻은 좋은 결과를 이르는 말. 형창설안( 螢窓雪案 ). 차형손설( 車螢孫雪 ). 영설독서( 映雪讀書 ).
◑개권유익( 開卷有益 ). 책을 펼쳐놓으면 그것만으로도 유익하다. 독서를 권장하는 말.
◑고궁독서( 固窮讀書 ). 가난한 것을 달게 여기며 글읽기를 좋아함.
◑고문전책( 高文典冊 ). 귀중한 문서
◑낙양지귀( 洛陽紙價貴 ). 낙양의 종이값이 오른다는 뜻으로 저서가 좋은 평판을 받아서 매우 잘 팔린다는 것을 비유한 말.
◑남아수독 오거서( 男兒須讀 五車書 ).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수레에 실을 만큼의 책을 읽으라는 말
◑독서백편 의자현( 讀書百遍 義自見 ). 어려운 책이라도 백 번 되풀이하여 읽으면 저절로 그 뜻을 알게 된다는 말.
◑독서삼도( 讀書三到 ). 책을 읽는 데는 눈으로 보고, 입으로 읽고, 마음으로 이해해야 한다.
◑독서삼매( 讀書三昧 ). 아무 생각없이 오직 책읽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상태. 한 곳에 정신을 집중하는 것, 삼매는 범어 samadhi의 음역
◑ 독서삼여( 讀書三餘)독서하기에 알맞은 세 여가--겨울,밤,비올 때.
◑독서상우( 讀書尙友 ). 독서함으로써 옛날의 현인을 벗삼다
◑독서파만권( 讀書破萬券 ). 책을 많이 읽다.
◑등화가친( 燈火可親 ).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하여 글읽기에 아주 좋다는 뜻. 등화초가친( 燈火稍可親 ).
◑박이부정( 博而不精 ). 여러 방면으로 널리 아나 정통하지 못함. 독서에 있어서 정독(精讀)의 중요성. 숲은 보고 나무는 보지 못함
◑서불가진신( 書不可盡信 ). 책에 기록되어 있다고 다 믿어서는 안 된다
◑서불차인( 書不借人 ). 책을 아껴서 남에게 빌려주지 않다.
◑서자서아자아( 書自書我自我 ). 글은 글대로 나는 나대로이다. 곧 글은 눈으로만 읽고 마음은 딴 곳에 있다는 뜻.
◑손강영설( 孫康映雪 ). 진나라 학자 손강이 가난하여 등유를 사지 못하고 겨울밤에 책을 눈(雪)에 비추어 읽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
◑수불석권( 手不釋卷 ).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. 늘 책을 가까이하여 학문을 열심히 하다.
◑신량등화( 新凉燈火 ). 서늘한 초가을 밤에 등불 밑에서 글읽기가 좋다.
◑십행구하( 十行俱下 ). 열 줄의 글을 한 번에 읽는다. 책 읽는 속도가 빠름을 나타내는 말
◑어언무미( 語言無味 ).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말에도 맛이 없다.
◑영설독서( 詠雪讀書 ). 눈(雪)의 밝은 빛으로 책을 잃는다.
◑오거지서( 吾車之書 ). 다섯 수레에 실을 만큼 많은 책
◑외제학문( 外題學問 ). 책의 제목만 많이 알고 실제로 그 내용은 잘 모름을 일컫는 말
◑월광독서( 月光讀書 ). 달빛으로 책을 읽는다. 고학(苦學)을 말함
◑위편삼절( 韋編三絶 ). 한 책을 되풀이하여 숙독함의 비유. 공자가 만년에 역경(易經)을 좋아하여 즐겨 읽는 바람에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
◑주경야독( 晝耕夜讀 ).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다. 바쁜 중에서도 책을 읽어 어렵게 공부하다.
◑착벽투광 (鑿壁偸光) 한 가난한 사람이 저녁에는 어두운데 초를
살돈이 없어서 부자인 옆집의 빛을 훔치기위해 벽에 구멍을 뚫었다
◑한우충동( 汗牛充棟 ). 수레에 실으면 소가 땀을 뻘뻘 흘리고 방에 쌓으면 대들보까지 닿을 만큼 책이 많다.
◑행상대경( 行常帶經 ). 나다닐 대도 늘 경서(經書)를 지니고 다닌다는 뜻으로, 항시 학문에 정진함을 이름.
◑형설지공( 螢雪之功 ).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한 공이라는 뜻으로, 갖은 고생을 하며 공부해서 얻은 좋은 결과를 이르는 말. 형창설안( 螢窓雪案 ). 차형손설( 車螢孫雪 ). 영설독서( 映雪讀書 ).
출처 : 독서에 관한 사자성어
글쓴이 : ㉩ㅏ㉪ㅏ㉠ㅔ 살자 원글보기
메모 :
'스토리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북한산 종주코스 (0) | 2008.09.30 |
---|---|
[스크랩] 성...........속담 (0) | 2008.09.30 |
[스크랩] 결혼에 관한 성어 (0) | 2008.09.29 |
[스크랩] ★사자성어★ (하)탄!!! (0) | 2008.09.29 |
[스크랩] ★사자성어★ (파)탄!!! (0) | 2008.09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