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토리1

[스크랩] ★사자성어★ (사)탄!!!

깊고깊은산 2008. 9. 29. 21:50
四顧無親(사고무친) : 의지할 친척이 없이 아주 외로움
四面楚歌(사면초가) : 사방이 다 적에게 싸여 도움이 없이 고립됨
四分五裂(사분오열) : 여러 쪽으로 찢어짐. 어지럽게 분열됨
砂上樓閣(사상누각) : 기초가 약하여 오래가지 못할 일
四通五達(사통오달) : 길이나 교통망 통신망 등이 사방으로
막힘없이 통함
事必歸正(사필귀정) : 모든 일은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감
山紫水明(산자수명) : 산수의 경치가 썩 좋음
山戰水戰(산전수전) : 산에서의 전투와 물에서의 전투를 다 겪음
세상 일에 경험이 많음
山海珍味(산해진미) : 산과 바다에서 나는 물건으로 만든 맛좋은 음식
殺身成仁(살신성인) : 목숨을 버려 어진 일을 이룸
三顧草廬(삼고초려) : 인재를 맞기 위해 참을성 있게 힘씀
森羅萬象(삼라만상) :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의 현상
三旬九食(삼순구식) : 한 달에 아홉 끼를 먹을 정도로 매우 빈궁한 생활
三日遊街(삼일유가) :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동안 온 거리로
돌아다님
三從之道(삼종지도) : 여자는 어려서 어버이께 순종하고, 시집가서는
남편에게,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에게
순종해야 한다는 도덕관
三尺童子(삼척동자) : 키가 석자에 불과한 자그만 어린애
곧 어린아이
桑田碧海(상전벽해) : 세상의 일이 덧없이 바뀜
塞翁之馬(새옹지마) : 세상 일은 복이 될지 화가 될지 알 수 없음
胥動浮言(서동부언) : 거짓말을 퍼뜨려 인심을 선동함
先見之明(선견지명) : 앞일을 미리 내다보는 밝은 슬기
先公後私(선공후사) : 공적인 일을 먼저하고 사적인 일을 뒤로 미룸
善男善女(선남선녀) : 보통사람
仙風道骨(선풍도골) : 뛰어난 풍채와 골격
舌芒於劍(설망어검) : 혀는 칼보다 날카로움
雪上加霜(설상가상) : 불행한 일이 거듭하여 겹침
說往說來(설왕설래) :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
纖纖玉手(섬섬옥수) :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
騷人墨客(소인묵객) : 시문이나 그림을 일 삼는 사람
小貪大失(소탐대실) :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
束手無策(속수무책) : 어찌 할 도리 없이 꼼짝 못 함
送舊迎新(송구영신) :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
首邱初心(수구초심) :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
壽福康寧(수복강녕) : 오래 살고 복되며, 몸이 건강하고 편안함
袖手傍觀(수수방관) :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음
修身齊家(수신제가) : 행실을 닦고 집안을 바로 잡음
水魚之交(수어지교) : 고기와 물과의 사이처럼 떨어질 수 없는
특별한 친분
脣亡齒寒(순망치한) : 가까운 사람이 망하면 다른 사람도 영향을 받음
乘勝長驅(승승장구) : 싸움에서 이긴 기세를 타고 계속 적을 몰아침
是是非非(시시비비) : 옳고 그름을 가리어 밝힘
始終如一(시종여일) : 처음이나 나중이 한결같아서 변함없음
始終一貫(시종일관) : 처음과 끝이 같음 (시종여일 始終如一)
食少事煩(식소사번) : 먹을 것은 적고 할 일은 많음
識字憂患(식자우환) : 학식이 도리어 근심을 이끌어 옴
信賞必罰(신상필벌) : 공이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상을 주고
죄가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벌을 줌
申申付託(신신부탁) : 거듭 되풀이하여 간절히 부탁하는 것
身言書判(신언서판) : 인물을 선택하는 네 가지 조건. 몸, 말씨
글씨, 판단력
神出鬼沒(신출귀몰) : 자유 자재로 출몰하여 그 변화를 헤아릴 수 없음
身體髮膚(신체발부) : 머리 끝부터 발 끝까지의 몸 전부
實事求是(실사구시) : 사실에 토대 하여 진리를 탐구하는 일
深思塾考(심사숙고) : 깊이 생각하고 곧 신중을 기하여 곰곰이 생각함
心心相印(심심상인) :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. 이심전심
十常八九(십상팔구) : 열이면 여덟이나 아홉은 그러함
十匙一飯(십시일반) : 여러 사람이 한 사람 구제하기는 쉬움

출처 : ★사자성어★ (사)탄!!!
글쓴이 : ㈜콩두유™ 원글보기
메모 :